본문 바로가기

풍경58

[미완성 10호] 하늘(가제) - 1 요즘 종종 하늘을 보다가 결국 그리기 시작했다. 풍경화용으로 좀 긴 캔버스를 사놓은 게 있었는데, 구름을 그리는 데 딱 좋은 것 같다. 사진 찍을 때 오른쪽에 빛이 많이들어가 너무 밝아졌는데, 완성되면 좀 더 잘 찍어봐야지. 2013. 10. 13.
옥산서원의 숨은 보물, 자연 1 몇년전 양동마을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는 옥산서원. 우리의 오래된 건축물이 모두 그러하듯, 그 건물의 조형미도 그렇지만 건물에서 보이는 풍경을 얼마나 잘 빌려쓸 수 있는 지가 중요하겠지요. 옥산서원도 좋지만 사실 옥산서원의 백미는 자연인 것 같습니다. 마치 뱀이 똬리를 튼 듯한 곡선의 밑둥과 벼락을 맞은 듯 하늘로 쭉 뻗은 직선의 나무아름이 보여주는 대비가 참 신비롭습니다. 2013. 6. 10.
너무 진한. 열대가 보여 무서운 봄꽃 한강변 어딘가에서 보이는 -내지는 조성해놓은- 꽃들. 왠지 더 어릴 때 본 꽃들은 이것들보다 티미했었던 것 같은데요. 진한 건 진한대로 아름답지만, 점점 요상해지는 날씨를 생각하면 마음껏 반길 수만은 없네요. 2013. 5. 13.
[미완성 4호] 빙경(氷景)과 설경(雪景) 사이 실제 그려봤으면 하고 생각이 든 풍경은 살얼음이 만든 작은 소품같은 장면이었지만, 물감을 얹다보니 날 서있는 모습의 '빙경'이 아닌 '설경(雪景)' 정도가 될 지도 모르겠습니다. 이전에 조화를 그렸다가 어찌보아도 만족스럽지 못했던 그림에 젯소를 발라버렸습니다. 물을 많이 섞었는지 캔버스의 그림 전부를 덮지는 못하고 군데군데 밑바탕이 남아있습니다. 그것도 나름 운치있네요. 그대로 살려서 배경을 확장해볼 생각입니다. 2013. 3. 4.
눈과 얼음, 그 사이 풍경의 온도 염화칼슘과 쓰레바기, 망치... 눈을 녹이고, 눈을 치우고, 얼음을 깨기 위한 도구입니다. 얼어버린 문까지 포함하여 저의 팔목을 뻐근하게 만드는 일이 하루에도 여러번 반복됩니다. 눈이 묵히고 묵혀 얼어버리는 차가움만 느껴지는 하루하루지만, 그래도 문 밖을 나서면 어디선가는 녹고 어디선가는 풍경을 이룹니다. 오늘은 결국 집으로만의 피신을 포기했지만 그래도 멀리 나가본 건 아닙니다. 원래 목표였던 북한산은 멀 발치에서만 바라보게 되었지만, 익숙한 동네 풍경에 눈이 더해진 모습 역시 어느 예술가의 손길 못지 않네요. 요즘 사람들의 무표정이 점점 더 화난 인상으로 바뀌고, 누군가의 작은 위로가 값싼 위로로 취급받는 퍽퍽한 날들이 계속되는 때. 그리하여 뭔가 훈훈한 인상과 통큰 위로가 점점 그리워지고 귀해진다 생.. 2013. 1. 1.
[미완성] 풍경화 모사중 - 모네 [아르쟁뢰유의 센느강] 풍경화 모사 중입니다. 시원한 하늘에 구름이 잘못 그리면 심심해질 수 있도 있지만, 제 그림에는 힘은 좀 있는데 어두워지는 색감을 끌어올려보려 최대한 밝게 그려볼 생각입니다. 캔버스 사이즈 상 오른쪽이 잘려서 괜찮을라나 모르겠어요. 그래도 왼쪽 자른 것보다야 훨 나은 상황이라서리...ㅇㅎㅎ 원작은 아래와 같음. 아르쟁뢰유의 센느강 2012. 3. 17.
나뭇가지로 그리는 그림 - 북악산 성곽길 어귀 자연의 걸작품 2탄이라고나할까요? 사실 풍경화 그릴만한 거대한 장면을 기대하고 살짝 올라가긴 했지만, 역시나 어설프게 올라가선 어림도 없나봅니다. 그리고 역시나 세세한 장면에 눈길이 더 가고요. 나뭇가지가 구름 한점 없는 오늘 하늘 사이를 가르며 그리는 작품들이 멋지네요. 아주 작은 캔버스로 한점 정도는 그려볼 생각입니다. 2012. 3. 4.
길상사 연필 스케치 오늘 길상사에서 드로잉북 스케치가 있었습니다. 2월의 나무들이 그리기엔 가장 좋다고 하네요. 가지만 남아 추워보이지만 본연의 골격을 그대로 내보일 수 있는 계절. 한 장 당 20분~ 30분 사이 그리고 이동, 그리고 이동. 움직이지 않고 한 자리에서 스케치를 하니 콧물이 흐를 만큼 추웠지만, 전반적으로 상쾌하고 풍성한 하루였습니다. 맨 처음 그림은 맨 마지막에 그린 건데, 함께 했던 스케치 멤버들도 스케치하는 모습까지 모델이 되었죠. 2012. 2. 25.
야릇한 여유(?) 덕에 한번 찍어본 우리~~~집! 아.... 지난 주 가장 추운 날, 어찌나 그날만 쏙 빼먹고 수도꼭지 '똑똑'을 안 했더니 고~대로 온수가 안나왔습니다. 3일이나 지난 월요일 저녁되어서야, 꾹꾹 막혔으나 혹시나 하는 마음에 틀어놓았던 수도꼭지로 물이 쏟아지고 있었지요. 어떻든 이러한 이유로 주말 거의 내내 집에 있으면서 이사온 지 9개월이 넘어 우리 집을 찍을 야릇한 여유(?)가 생겼습죠. 연립빌라의 2층인데, 그 안에 복층으로 구성되어 있는 집입니다. 커튼은 겨울맞이 따끈따근 NEW 아이템~! 먼저 복층의 2층부터~~~. 식물을 키우기 시작했는데, 겨울에...ㅠ.ㅠ 계속 잘 할 수 있으려나 모르겠습니다. 벌써 두 화분 말아(?)먹었거든요....ㅡ.ㅡ 그림이 늘면 위층의 벽부터 전시장 마냥 쭉 채워나갈 예정입니다~! 사실 이전 사람이 .. 2012. 2. 8.
겨울 어느 즈음, 동네 어디 즈음 겨울의 끝자락이라고 믿고 싶어지는 요즘. 벌써 1월 초인가요? 동네 한바퀴 돌며 그림 그릴만한 곳이 없나 찍고 돌아다녔었는데요. 괜찮은 장면, 사진을 보며 당시 느꼈던 감성이 떠오르는데 실제 그 기분을 옮기는 게 쉽지는 않네요..^^; 2012. 1. 18.
23일 새벽 포근한 눈 화이트크리스마스를 만드려고 하는 걸까요? 퇴근 시간부터 내리던 눈이 드디어 쌓이네요. 아름답~! 2011. 12. 25.
시원시원 널찍한 풍경을 안겨주는 도심 속 나무들의 힘 - 화계사 화계사는 처음 가봤어요. 들어가는 길이 나쁘지 않네요. 주택은 점점 줄어들고 나무 키는 점점 커져가면서, 서서히 다른 곳에 들어서고 있는 느낌이라고나할까요? 다 들어가 입구에 이르러서 시원시원한 나무들이 많아지면서, 어느 도심보다 널찍한 구도를 구경한 듯 합니다. 사실 절 내는 거대함, 붐빔으로 인해 꼼꼼히 위쪽까지 살펴볼 여유가 사라졌다고나 할까요? 그래도 구석구석 끌리는 곳들이 보이네요. 2011. 11.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