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31

눈발 벌써 작년 남원 가던 길 간만에 보는 눈발에 마음 속 무언가 진동하다가 눈밤에 이어 눈낮에도 날리는 눈발을 기록하다 https://youtu.be/E9aepfywbBE 촬영/편집/칼림바연주 - jineeya 편집프로그램 - Clipchamp 2023. 1. 28.
납작 얼굴 네 양반 안 보이던 얼굴을 보게 되네. 2022. 12. 25.
자연발생 몸체에 얼곰작가 눈코로 화룡점정 2022. 12. 23.
눈과 한파가 만들어내는, 알면서도 모르는 세상 2022. 12. 22.
그녀의 옷장 이 옷장의 주인은 제주시 용담동에 있던 내왓당의 홍아위(紅兒位)로, 뱀의 이미지를 품고 있는 듯한 신이다. '붉은 아이'라는 이름 뜻을 가진 이 신은 노란 상의에 붉은 치마와 같은 옷에 붉은 부채를 들고 있는데, 그녀가 걸치거나 가지고 있는 눈, 머리카락, 목도리, 허리띠 등을 따로 떼어 옷장에 정리한다면 이런 모양은 아닐지 생각해본다. 2022. 1. 16.
괴레메 파노라마 조용히 떨어져 드넓게 뒤덮어 바람도 끊기고 낮은숨 소리만 괴레메 파노라마, 2019, 종이에 만년필 2019. 12. 7.
치켜 뜬 눈 베트남 사원 처마엔 닭 조각이 많아 흥미롭긴 한데 그래도 늘 있을 법 한 존재는 용. ('어처구니'라 부르는 줄 알았는데 그냥 설의 하나인가보니 이젠 쓰지 말까보다.) 지나가다가 처마끝에 달린, 하늘로 눈을 치켜뜬 용이 어리숙해보이기도 하고, 미련해보이기도 하고, 애틋해보이기도 하고, 부럽기도 하다. 치켜 뜬 눈, 2018, 종이에 만년필 2018. 12. 15.
비 오는 베트남 비오는 날 베트남, 색색의 우비 쓰고 오토바이 타는 사람들. 비오는 베트남, 2018, 종이에 만년필 2018. 12. 14.
시그니처 전시 모습 미로형태의 두더지방과 전시 시그니처가 결합된 방식의 공간으로 구성된 천장산우화극장 모습입니다! 2018. 11. 9.
[전시] 2018.11.06 ~ 17 시그니처 정대원,허혜윤작가와 함께 오는 17일까지 천장산우화극장에서 전시합니다. 시그니처(Signiture) 지역 네트워크 모임에서 만난 작가들은 일상에서 공동체성으로 스스로 변화하는 동시에 개인의 명확한 예술성의 인지를 바탕으로 타인과 만나 상호 영향을 주고받는 과정 속에서 자연스레 자신을 나타내는 소통의 매개물을 발견하게 되었다. 해당 매개물은 시기와 만남, 공간에 따라 개별 역사성을 가지며 변화하기도 하지만 동시에 작가들의 현재를 반영하고 타인으로 하여금 작가를 인지시키는 주요 요소이기도 하다. 시그니처는 현재를 살아가는 작가들의 매개물인 동시에 주변과의 관계에서 자연스럽게 전이되는 소통의 문화를 도출하는 상징이다. ------------- 허혜윤의 시그니처 – 동물 월곡동 마을 풍경을 화폭에 담은 허혜윤 .. 2018. 11. 7.
눈깔 용 눈만 남은 용, 월장석친구들회의 때 동물 그림 그리다가 나온 결과물. 눈깔은 그리 매끄러운 단어는 아닌데 왠지 '깔' 자체 느낌이 좋아서 쓰고 싶어진다. 2018. 10. 6.
눈이 있는 낙서 2018. 7.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