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ovie story208

보내줄 유령과 남길 유령 - [썸머 고스트] 매년 이맘때 쯤 폐업한 법인의 5년 지난 문서들을 파쇄한다. 파쇄할 때마다 집의 공간이 약간 증가한다. 이 많은 서류들이 종이로 남아있는 걸 보면서 종이를 요구하는 행정 기구와는 사업을 하지 말아야 하는 지 고민한다. 그러나 동시에 곧 없앨 종이들 사이에 아직도 살아있는 기억과 추억은, 없앤다는 짧은 행위 중 잠시 고개를 드러낸다. 앞으로도 사소한 행위나 생각 만으로 꾸준히 드러날 예정이다. [썸머 고스트]에는 유령과 유령을 찾는 산 자가 나타난다. 유령은 너무 사람같고 예상 외로 생과 사를 모두 경험했음에도 바라는 것, 생각하는 것이 그다지 복잡하지 않다. 오히려 삶이 잔뜩 남아 무거워진 생각과 현실은 산 자들의 몫이다. 그리하여 유령은 본의 아니게 산 자들의 컨설턴트가 되기도 한다. 사실 이 애니메이.. 2023. 3. 26.
오호! 천장산산신제는 올해도 쭉! 올해도 즐거운 천장산산신제 프로덕션 가동 중인데 마침, 2020년에 동네 친구들과 함께 만든 영화 (연출 : 김서진)가 평택국제영화제에 선정되어 상영 예정! 2022. 6. 16.
꽤 괜찮은 사람책 한번 펼쳐보시겠습니까? - 영화 <아치의 노래, 정태춘> '사람이 책이고 마을이 도서관이다' 굉장히 누군가 말했을 법한 문장인데, 실제 덴마크 사회운동가가 창안한 행사의 이름이라고 한다. 사람은 책을 선택할 수 있고, 호불호도 당연히 가질 수 있으니 모든 책이 읽히거나 도서관에 비치될 필요는 없다. 그런데 간혹 취향도 아니고 평상시 궁금한 것도 없었지만 그 누가 봐도 한바가지 공감 지점이 최소 한가지 이상은 잡힐 만한 사람책이 있다. 영화 에서 삶의 궤적을 따라 덤덤하고 말끔하게 전개되는 이야기는 마치 노래 인생의 궤적과 유사하기 그지 없다. 만든 노래처럼 인생을 살고, 노래라는 일상의 일과 노동이 그대로 인생인, 누군가든 한번 쯤 부러워할만한 삶의 자세. 물론 누군가에겐 꼰대같고 다 옛 일 같고 주변인들은 힘들었을 것 같고해서 펼치기 싫은 책일지도 모른다. .. 2022. 4. 28.
불확실성은 끝자락도 정점... - 불멸의 그대에게 모든 것은 언젠가 멸망한다. 그 마지막 순간에 세상을 위해 만들어놓은 신의 장난. 제멋대로 자발적인 사람들이 가득한 세상에서 마치 신과 같은 존재는 삶의 의미는 커녕 삶이 무엇인지 모르는 무기물 하나를 세상에 던져놓았다. 그러나 대부분 신들이 그러하듯 만드는 건 마음대로지만 탄생한 존재가 어떻게 될지는 신들도 모른다. 그러니 만들어놓고 열심히 지켜보고 관찰하고 간섭할 뿐이다. 그들의 마음대로 되길 바라면서 신일지 아닐지 모르는 그 존재 역시 열심히 노력 중이다. 어느 책에선가 지식에 대해 이르길, 불확실성의 끝자락에서 끊임없이 헤매는 모험이라 했다. 확실성을 부여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는 순간 그 지식이 무엇이든 해당 지식의 효용성을 잊은 채 과장되고 흉폭해지기 이를 때 없어질 지도 모른다. 이 애니메이션.. 2022. 2. 21.
인간이라는 집합체의 동조 - PSYCHO-PASS 마이너리포트와 같은 세상에서 감시자와 집행자는 누구이며 무엇을 해야 하는가? 멀지 않은 미래에 범죄계수를 자동으로 체크하는 세상, 사이코패스 상태가 탁해지면 현장에서 사살될 수도 있다. 계수가 높은 사람들 중에 범죄자가 아닌 범죄를 잡아내는 자가 되고 싶다면 집행관이 될 수 있다. 다만 팀 내 감시관의 판단에 따라 역시 현장에서 사살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테러에 가까운 범죄를 저질러도 범죄계수가 일반인 수치로 떨어지면 감시가 해제된 일반병동으로 옮겨질 수도 있다. 절대 신뢰를 받는 절대정신이 존재하는 세상, 그게 설령 AI라 하더라도 지금이나 우화같이 받아들여져도 언젠가는 신화가 될 수도 있다. 그렇게 누구나에게 받아들여진, 그러나 현재라는 시간대에서는 받아들이기 힘든 세상, 반대로 비단 과거의 몇십.. 2022. 1. 15.
이 무슨 말도 안되는 순삭 - 애니메이션 <Serial Parallels> 오랜만에 재미있는 사이트를 찾았다. https://www.zippyframes.com/ 몇몇 애니메이션은 실제 관람 가능하다는 점이 더욱 매력적이다. 그런데 사실 이 사이트에서 본 애니메이션은 현재까지 단 한 작품, 뿐이다. 말도 안되는 고품격 노가다꾼의 솜씨로 인해 런닝타임 채워서 볼 것 같지 않았던 9분이 후다닥 가버렸다. 평생 서울에서 살아서 그런지 이런 고층 건물의 모습은 대체로 머물고 싶지 않은 형상이긴 한데, 희한하게 -관람에 가깝게- 보는 건 또 색다른 즐거움같기도 하다. 홍콩 view이긴 하나 닮은 듯 닮지 않은 듯 빌딩숲에 익숙해진 21세기 도시민들의 공감대. 출처 : https://www.zippyframes.com/index.php/shorts/serial-parallels-max-h.. 2021. 8. 24.
고전이란 무엇이다 - 영화 <그린나이트> 고전을 그다지 즐겨 읽거나 보지 않는다. 나에게는 고전보다 신화학이 더 흥미로웠다. 그런데 희한하게 인문학 범주의 신화학은 나를 각종 이생물, 괴물, 전설 이야기로 잘 인도하고 어느 순간을 넘어서면서 굳이 구분자가 뭘까 싶은 생각이 들기도 한다. 고전은 신화를 참조하고, 신화학은 각종 고전과 풍문과 이야기 속에서 설을 정리한다. 물론 스며들듯 책 귀퉁이를 차지하는 서로의 영향력으로는 나에게 체계적인 배움을 허용하지 않는다. 고전을 여전히 즐겨 읽거나 보지 않는다. 그러나 나에게는 고전도 신화학만큼 흥미로워졌다. 그린나이트는 14세기 중세 후기에 쓰여진 영국의 서사시라고 하는데 아서왕의 조카이자 아직 기사가 되지 못한 가웨인과 녹색기사의 내기로 부터 시작된다. 영화는 중세영어본을 참조했을 지, 톨킨과 고든.. 2021. 8. 10.
본격 의학 학습 애니 ‘일하는 세포’ 피로 얼룩진 일상, 24시간 반복되는 노동, 끊임없이 도망치거나 끊임없이 해치우거나, 끊임없이 청소하거나… 암울한 자본주의 디스토피아 세상같지만 사실 세포 입장에서 보면 충분히 상상할 수 있는 우리의 몸 속 사정이다. 찰과상 입어도 세상은 무너지고, 상한 음식을 먹어도 세상은 무너지고, 세포가 변형되어도 세상은 무너진다. 그래도 백혈구, 적혈구, T세포, 혈소판, 마크로파지, 수지상 세포 등이 이동하면서 무너뜨리는 녀석들을 없애고, 세상을 수복하고, 일상을 되찾는다. 비장하고 암울하게 표현했으나 ‘일하는 세포’ 시즌 1은 그야말로 순한 맛이다. (시리즈 여러 개이고 블랙버전도 있음) 그저 세포를 의인화한 것 만으로도 상황에 대한 상상이 풍성하게 쌓인다. 그도 그럴 것이, 사람이라면 누구나 매일 고도의 경.. 2021. 7. 29.
그렇게도 당연하게 힐링 - 바라카몬 잘 나가는 전문가, 찾아온 좌절, 인정할 수 없는데 인정할 수 밖에 없는 지적, 어쩌다 바뀐 환경, 조건 없는 포용, 과정에서 발견되는 새로운 길, 그리고 새삼스레 중요해진 커뮤니티. 차도남이 도시에서 어쩌다 시골에 내려가면서 발생하는 힐링 애니메이션의 이야기 흐름은 꽤나 예상 가능하다보니, 한두편 보다보면 '또?'인가 싶기도 해서 완주하기 어려울 때가 있다. 따라서 막장드라마 스토리라인급의 스토리 전개 예상에도 집중은 일사천리, 마음은 몽글몽글, 공감은 구석구석 일으키는 애니메이션이라면 그야말로 훌륭하다 할 만하다. 바라카몬은 그렇게 훌륭한 애니메이션이다. 숲의 벌레든 바다의 생선이든 거주하는 집의 쥐든 손으로 잡는 건 불가능하고, 밥해먹을 줄도 모르고, 뒷산에서도 길 잃어도 실족사할지 모르는, 시골마.. 2021. 7. 24.
전형적인 ‘아는 만큼 보이는’ - 문호 스트레이독스 문호스트레이독스와 같이 캐릭터가 실존했던 인물들을 차용해오면 큰 장점과 큰 단점이 있게 마련이다. 실제 이 애니메이션은 이능력자들의 전투물이라고 볼 수 있으나, 인물들은 일본에서 꽤 유명한 문학가들이었고 그들이 사용하는 이능력은 그들의 작품 내용을 차용하고 있으며 심지어 상호 관계나 취향에도 조금씩 실존 인물의 그것이 반영되어 있다. 다자이 오사무의 능력 '인간 실격'은 어찌나 찰떡인지. 일본 문학가들을 잘 몰라도, 도스토예프스키나 마크 트웨인, 피츠제럴드, 앨런포, 루시 몽고메리 등 한번쯤 들어봤을 법한 문호들의 이름이 스쳐지나갈지도 모른다. 그렇게 이 애니메이션은 원래의 스토리라인과 별개로 해당 문호에 대해 아는 만큼 그의 이능력이 매치된 모습을 볼 때 폭소할 수 밖에 없다. 하나의 이야기에서 다른 .. 2021. 7. 17.
처음엔 지적 사치인가 싶었는데... - 미션임파서블 루벤 극장판 애니메이션 중 눈에 띄는 게 있어 간만에 극장행, 93분 러닝타임 중 아마도 80여분 전후까지도 황홀하게 감상 중이다가 마지막에 김 빠진 느낌을 받았다. 하지만 미리 말해두는데 이 애니메이션은 기본적으로 훌륭하다. 애니 속 등장하는 예술작품들을 한두가지라도 감상해본 사람이라면, 이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예술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이 애니메이션이 예술을 표현하는 방식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런데 그에 비해 스토리가 너무 안 중요해져 다소 허탈하다 싶었다. 이 애니메이션은 심지어 시나리오상까지 수상했다. 그런데 나는 왜 스토리가 밀린 느낌이었을까? 이번에 새삼 나 스스로가 장르 복합을 그렇게 얘기하면서도 장르들에 대한 편견에 가득찬 건 아닌지 고민에 휩싸였다. 예술작품들에 대한 .. 2021. 7. 13.
신선한 고전 - 나이브스 아웃 예전 홍콩영화를 미친 듯이 보던 시절, 세상세상 유명한 배우들이 무슨 크리스마스 선물도 아니고 최소 1년에 1번 정도 말도 안되는 코믹영화에 더 이상 좋을 수 없는 라인업으로 출연하여 2시간 내로 실컷 웃겨주고 유유히 사라지곤 했다. 고급지게 골라골라 출연해도 감사할 것 같은 네임드들이 이렇게 떼거지로 나오는 풍경이 한두 영화 아니라면 아마도 그 나라 영화 풍토에 기인된 거라 생각했다. 코믹영화를 그다지 좋아하지도 않는데, 그리고 영화는 죽었다 깨도 연출의 것이라 생각하는데, 놀랍게도 이렇게 모여 그렇게 찍으면 저렇게 유쾌한 영화가 나오는구나 싶기도 했다. 본 적 없는 배우가 거의 없는 영화, 나이브스 아웃이 그런 영화다. 하나같이 주연을 꿰차도 차고 넘칠 배우들이 세상세상 고전적인 방식의 탐정영화에 함.. 2020. 1.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