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rawing story372 [미완성] 풍경화 모사중 - 모네 [아르쟁뢰유의 센느강] 풍경화 모사 중입니다. 시원한 하늘에 구름이 잘못 그리면 심심해질 수 있도 있지만, 제 그림에는 힘은 좀 있는데 어두워지는 색감을 끌어올려보려 최대한 밝게 그려볼 생각입니다. 캔버스 사이즈 상 오른쪽이 잘려서 괜찮을라나 모르겠어요. 그래도 왼쪽 자른 것보다야 훨 나은 상황이라서리...ㅇㅎㅎ 원작은 아래와 같음. 아르쟁뢰유의 센느강 2012. 3. 17. 국화가 있는 정물 이 그림은 그리다보니 토루소가 앞으로 나와보여서 화분 항아리를 밝게 만드는 데 중간부터 신경썼었어요. 그랬더니 꽃과 피망만큼 화려해지더라고요. 막판에 다시 항아리를 죽였더니 바로 국화와 피망이 살아났습니다. 그리다보면 마무리를 어떻게 해야 할지, 무엇이 주제였는지 자꾸 잊고 never ending이 되는 것 같아요. 지속적으로 주제를 잃지 않고 그에 따라 머리를 굴리는 방식을 몸에 익혀야 겠어요.^^ 2012. 3. 11. [미완성] 소품용 정물 좀 더 손보았음 원래는 햇빛에 밝게 비추어야 좀 더 사진이 잘 찍히는데, 형광등에 비추니 번쩍이기가 심하네요. 그래도 아직 완성이 아니니 진행되는 모습만... 조만간 끝낼거야(?)요~! 2012. 3. 5. [미완성] 소품용 정물 그리는 중 꽤 작은 캔버스 4호에 소품용 정물을 그리는 중입니다. 완전 간단하죠? 원래 집에 있던 벽걸이 촛대를 그리다가 그대로 엎고 꽃 정물을 그리는 중입니다. 생화로 그리면 좋겠으나, 분명 시들어 빠질 때까지도 다 못그릴 것 같아서... 시들어 빠진 것도 좋으나 시시각각 변하는 모습을 반영하긴 힘드니 조화 화분으로 그리고 있습죠. 지금은 다소 튜울립처럼 보이겠지만 조만간 장미가 될 겁니다...ㅇㅎㅎ 2012. 2. 27. 길상사 연필 스케치 오늘 길상사에서 드로잉북 스케치가 있었습니다. 2월의 나무들이 그리기엔 가장 좋다고 하네요. 가지만 남아 추워보이지만 본연의 골격을 그대로 내보일 수 있는 계절. 한 장 당 20분~ 30분 사이 그리고 이동, 그리고 이동. 움직이지 않고 한 자리에서 스케치를 하니 콧물이 흐를 만큼 추웠지만, 전반적으로 상쾌하고 풍성한 하루였습니다. 맨 처음 그림은 맨 마지막에 그린 건데, 함께 했던 스케치 멤버들도 스케치하는 모습까지 모델이 되었죠. 2012. 2. 25. [포트폴리오 5호] 4가지 정물 오랜만에 유화 그림. 구도 상으로 4개 정물이 배치가 쉽다는데 아직 구도를 잡는 건 참 여럽네요. 선생님이 세잔의 구도에 대해 이야기하시덴데, 그림을 많이 보고 구도 연습도 계속 해야 겠어요. 이건 1주일 전 미완성 그림입니다. 위의 것도 또 손볼 지 모르지만요.^^ 2012. 2. 5. [포트폴리오 4호] 초상 줌업으로 찍은 사진 구도를 기본으로첫 초상화 완성. 난중에 더 손 볼지도 몰겠지만요. 4호로 비교적 작은 캔버스에 그린 건데, 아주 마음에 듭니다. 이제 유화 그리며 중간중간 뎃생을 병행해야 겠어요. 2012. 1. 8. [미완성 no4] 명암 가는 중.... 그림이 훅훅 변하고 있습니다. 열굴 한 면을 뒤로 쭉 보내고 있죠. 석고상을 보는 것도 도움이 많이 되네요. 액자는 생각 안해봤는데 너무 꽉 차게 그린 듯 싶어요. 봐서 필요하면 나무 테두리 정도가 적당하지 않을 런지... 아직은 좀 더 지나야 하는 이야기. 2011. 12. 18. [미완성 no4] 색이 입혀지고 있는 나 ㅎㅎㅎㅎㅎ 나에게 인물은 익숙한 대상이 아니다. 사진을 찍어도 인물을 찍는 경우가 거의 없고, 얼마 안되는 그림들 중에도 인물은 없었다. 그닥 약점 정도로 생각하기엔 경험이 일천하니 크게 신경 쓰이지는 않-는 줄 알았-지만, 상대의 특징을 잘 집어내는 portraits 책도 사보고 감탄하는 걸 보면 '보충'이 필요했던 모양이다. 여튼 내 얼굴이기도 하고... (물론 실물과 차이 있음. 특히 눈이 커졌어. 줄여야 겠으!) 쑥스럽다. 2011. 12. 6. [미완성 no4] 내 얼굴 밑그림 중 찍어놓고 제일 먼저 생각한건, '피부 왜 이래?'...^^;;;; 아... 매일 조금씩이라도 뭔가 하려고 했는데 감기가 된통 걸려 이번 주엔 이게 다... 그럼 어때 뭐?ㅇㅎㅎ 2011. 12. 1. [포트폴리오 2호] 유화 두번째 완성품 오늘 완성되었습니다. 아직 서명은 하지 않았지만요. 완전 심플하지만 물체 보는 눈이 그래도 좀 더 상승한 기분입니다.^__________^ 2011. 11. 19. [미완성 3호] 유화 풍경화 세번째 아마도 오후 4시경의 모습이었을거다. 그리다보니 화면 속 땅과 가까운 하늘을 노란 계열로 표현한 걸 붉게 바꿨다. 물론 눈치챈 건 선생님 덕이다. 언덕 위 나무의 색만으로도 시간대를 유추할 수 있다. (이 부분을 주저리주저리 적는 건 이전에 전혀 생각지 못했던 부분이라서다. ㅋㅋ) 온갖 풀들도 되도록이면 개별의 움직임을 주려고 표현해보고 있다. 이 그림은 많은 고민을 하게 한다. 끊임없이 풍부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자연의 모습을 과연 몇 %까지 표현해낼 것인가? 나의 관찰력과 상식에 가까운 화면 파악능력은 어느 정도 발휘되거나 왜곡되고 있는가? 어떤 색감, 어떤 부분에 일종의 방점을 찍을 것인가? 뭔가 캔버스만큼이나 백지상태에서 그리기 시작해서, 화면이 채워짐과 동시에 머리 속도 입체화되는 느낌이다. 2011. 11. 16. 이전 1 ··· 25 26 27 28 29 30 3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