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1480

[20*30cm] 여자 그래, 그냥 여자구나.그리고 그냥 평생에 걸친 시리즈물이구나.여자이고 열정이고 동그라미고 핏빛이구나.나도 실은 잘 모르는 그것이구나. 그렇구나. 여자 (2016), jineeya, 20*30cm, 합판에 유화 2016. 12. 31.
흔하디 흔한 '즐거운 나의 집' '즐거운 나의 집'을 떠올리면 배산임수의 주박에서 벗어나기 힘든가보다.산이 있고, 물이 흐르고, 유유자적 솜사탕같은 구름이 흘러가는 곳. 이 정도면 되는 건가보다. 하지만 이 정도는 점점 더 어려운건가보다. 2016. 11. 28.
부모님이 바라보는 세상 안개 자욱한 바깥 풍경이 보이는 고층의 이곳이 좋다니 나도 좋은데,내가 보는 어떤 세상보다 티미해서 적응은 안된다. 2016. 10. 15.
기린 기린이 산다.강아지도 산다.마네킹도 산다. 그리고 사람도 산다. 기린, 김지희, 20*30cm, 합판에 수채연필 2016. 9. 18.
[30c] 통로 반들반들, 매끌매끌.만져보진 않았지만, 마치 잘 제련된 유리 조각품을 보는 듯하다.바람에 산들거리는 식물의 움직임과 현란한 반짝거림이 분명 눈을 현혹하지만, 나의 촉감마저 현혹시키진 못한다.만지면 차갑고 딱딱할 것만 같다.그것이 반들거릴지, 미끌거릴지, 축축할지, 말랑할지, 딱딱할지, 푸석거릴지 모른 채,그저 어딘가 어둠 속으로 이어져있는 통로에서 큰 한숨만 들이키고 돌아선다. 통로, 김지희, 30C (아마도 90.9 * 90.9cm), 캔버스에 복합재료 2016. 9. 17.
쫓기듯 무념무상 오늘도 어김없이 콘테이너 사무실에 들어간다.이미 자리잡은 두사람은 노트북에서 시선을 떼지 못할만큼 바쁘다. "일 몇 개나 남았어요?""셀 수 없을만큼?" 오늘처럼 일하기 싫은 날도 없다.그런 날 또 하나의 일거리를 건넨다.건넨 일만큼 남겨진 일들, 나의 노트북도 끊임없이 나의 시선을 받는다. 하지만 문득 정신차리면 일이 들어설 자리가 넉넉치만은 않다.여하튼, 지금은 무념무상도 쫓기듯 한다. 쫓기듯 무념무상, 김지희, 20*30cm, 합판에 수채연필 2016. 9. 5.
[낙서는회의때해야제맛] 주은 펜 테스트, 테스트 주은 펜 잘 나오나 테스트하면서 회의 안건지 한가득 낙서 삼매경 2016. 8. 17.
[전시] 2016.07.31.~08.05. 바통타치 - 아트스트 개업식 오는 7월 31일부터 8월 5일까지 미인도(서울시 성북구 동선동3가 22-6)에서 전시 '바통타치 - 아트스트 개업식'이 열립니다.많은 참여 바랍니다! ------------ 주요 일정 -----------개업식(오프닝) - 2016.07.31.(일) 오후 4시영업중(전시일) - 2016.08.01.(월) ~ 05.(금) 오후 3시 ~ 8시---------------------------------- 바통타치가 궁금하다면? - http://keystory.net/batontouch 2016. 7. 27.
언뜻 생각해보면 계곡일지도 모르지만 끝은 있을까?벗어나야겠다는 마음에 걸음을 재촉해봤지만,어느덧 다리는 터벅터벅 기운이 빠져간다. 골이 깊어 어둠이 끊임없고,길을 벗어나면 다시 구불구불 길이 시작된다. 그나마 눈부신 녹음에 눈이 아프지 않을 정도로 햇빛이 적어 슬슬 풍경에도 관심을 가지게 된다. 생각해보면 이보다 멋질 수 없다.파이고, 색이 바래질 때마다 남은 잔해들의 모습이 옮겨진 것들의 그것보다 눈길을 끈다. 어쩌다 얼키고 설키어 예상치 못한 모양을 만들어내는 솜씨가 가히 하늘의 뜻과 같다.그러나 무언가의 종료 시간에만 나올 수 있는 신기루같은 풍경일 뿐이다. 그런 의미에서 위대한 가치를 지니는 동시에,언제나 다음을 기약할 수 있는 무가치함을 동시에 지닌다. 2016. 7. 25.
딱히 알 필요는 없는 것 딱히 알 필요는 없지만,궁금해지는 것도 나쁘진 않지. 그냥 딱 알수는 없으니,상상해보는 것도 나쁘진 않지. 2016. 7. 17.
용산역 어릴적 추억사소한 자연낯설은 풍경청명한 날씨그리고 출발그리고 시작 2'53''영상 - jineeya음악 - chocolate river 2016. 7. 11.
[12F] 묵은 오래 되었으되 뒤돌아보지 않아 묵고, 묵히다가, 해묵은 작업들이 있다. 나는 그 중 하나의 작업을 종료했다.캔버스는 20년 전 동생이 쓰던 나무틀에 새로이 브라운천이 씌워졌고,그 위로 어두운 도심 벽면을 테마 삼아, 핸디코트에, 수채화물감에, 수채화용 크레용에, 유화까지 뒤섞였다. 그러나 동네일 하고, 커리큘럼에 머리 쓰는 동안,우리동네아뜰리에 한 벽면에 고이 자리 잡았던 작업은비단 재료들만 덮어쓴 게 아닌 듯 하다. 몇개월 만에 다시 마주한 작업은 나의 공기를 지우고,된장처럼, 간장처럼, 그리고 곰팡이처럼 묵고 묵혀져,이미 나의 것이 아니게 되었다. 오늘 나의 것으로 돌리기 위한 해묵은 작업이 시작되었으나 순순히 돌아왔는지는 미지수다.낯설고 힘들고 손은 만신창이다. 그래도 괜찮다.그래서 더 괜찮은지도 .. 2016.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