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무59

새로운 대지 발견! 2021. 8. 22.
슬슬 가을 준비 2021. 8. 16.
20200112 2020 이라니 새삼 낯설어 어떤 사람도 평생 떠돌이 평생 탐색자 보라 나무를 보라 색으로 보라 물들은 보라 세상에 2020. 1. 12.
조정오씨는 변신중 올해 이야기하는상자용 이야기 제작 중인데 저의 메인 캐릭터는 조용하고 정의로운 오지라퍼 조정오씨. 조정오씨는 원래 노란 실뱀이다가 용으로 변신가능한 정도의 능력을 가지고 있는데, 새, 나무, 물고기로도 변신 가능한 캐릭터로 만들어볼까도 고려 중. 2019. 7. 9.
언제봐도 탐스럽도다 몇년이 지나도, 사진만 봐도, 매력적인 풍경이 있다.어쩌면 팔다리 잘린 걸지도 모르는데, 인위적으로 변형된 걸지도 모르는데,풍만하고 탐스럽도다. 조만간 만나러 가야겠다. 컬러는 마음에 안들지만 이게 원본이라 어쩔 수 없이 올린다.민낯 가리기엔 꽤 자신 있지만, 가능한 수준에서 안가려볼까 싶어서... 29.7 * 42 cm, 종이에 색연필 2017. 3. 21.
[유화 1F] 나무, 곧 겨울 날이 추워지기 직전,잎이 떨어지기 시작한 그 때,멋드러진 가지가 하늘까지 뻗어나가는 모습이 보이기 시작한 그때,떨어지는 누런 잎이 가지를 붙든 푸른 잎을 압도하기 시작하는 한 때. [나무, 곧 겨울], 김지희, 유화, 1F, 2014.12. 2014. 12. 8.
[완성] 순환(循環) 2014. [순환]. 김지희. 55*58*72cm. 나무, 마끈, 천 등. 작품 [순환]은 삶과 죽음, 객체와 통합의 순환에 관한 내용을 담고자 한다. 나무로 형상화된 전체 구조는 나무의 뿌리, 줄기, 가지, 때로는 잎 등의 구상적 표현을 통해 재생과 분해의 생명 순환 과정을 상징한다. 나무와 더불어 중요한 지반이자 땅을 상징하는 교자상의 바닥은 도철(饕餮)이라는 중국 고대 신화에 등장하는 괴물의 형상이 자리하고 있다. 도철은 소나 양의 몸에 호랑이 이빨과 사람의 얼굴을 가진 굽은 뿔 달린 모습을 하고 있는데, 용의 자식 중 하나라고 한다. 사실 도철은 거칠고 엄청난 식탐을 가진 괴물로, 식탐이 과하여 자신의 몸까지 먹어치운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형상과 성정으로 인해 도철은 주로 청동기 시대 탐욕을.. 2014. 11. 9.
[미완성-입체] 분해목 2번째 작업의도 - http://jineeya.tistory.com/613[미완성-입체] 분해목 1번째 - http://jineeya.tistory.com/618 2014. 10. 8.
[미완성-입체] 분해목 - 11월 완성을 목표로~ 9월에 스케치했던 입체 작품 작업 중.아, 손 아파... 작업의도 - http://jineeya.tistory.com/613 2014. 10. 4.
무지 자유로운(?) 동양화 시간에 만난 나무들 요즘 굉장히 자유로운(?) 동양화 수업 -받는- 중. 선 연습을 나무 그리기로 하고 있다.실제 나무를 보고 그린 건 아니라서 관념의 산물. 유화를 주로 그리고 있는데, 동양화를 접목하는 것도 재미있을 듯.동양화의 매체가 아니라 그 결과물만 유화기법으로 차용해도 괜찮을 것 같고... 역순서로 맨 위의 그림이 오늘의 마지막 나무, 맨 아래 그림이 오늘의 첫 나무. 오늘의 마지막 나무 원래는 처음 이렇게 시작된 나무. 2014. 9. 27.
[작업스케치] 분해목 - 아마도 연말에 완성 예정 title- 분해목 or 순환의 나무 or 재생의 나무 대략 의도?- 강해도 모나도 하나의 기의 흐름을 통해 어우러지는 통합성과 순환성 재연- 객체들이 모여 전체성을 이루는 모양 -> 오마이갓! 내가 그닥 좋아하는 개념은 아닌데...ㅡ.ㅡ- 삶과 죽음의 순환을 기가 순환하는 듯한 형상으로 구현하기 위해 꼰 줄의 이동으로 표현할 예정 대략 재료?- 아마도 정크아트가 될 듯. 버릴 교자상, 꼰 줄, 나무토막들, 와이어- 나무 형태를 고정하는 것이 꽤 2014. 9. 21.
[보물 456호] 금 목걸이 - 나무들이 어우러져있는 숲처럼 6세기 신라 노서동 무덤에서 나왔다.금구슬과 곱은 옥으로 이루어져있는데,더욱 화려해보이는 이유는 금 구슬마다 나뭇잎모양의 수많은 장식이 달려있기 때문이다. 마치 나무 하나하나가 어우려져있는 숲,또는 끊임없는 넝쿨을 연상시킨다. 2014. 9.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