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는 존재하지 않는 것.
그리고 책, 사진, 지도, 또는 기억 속에 박제되기 시작한 것.
<상실의 기록>전에 참가한 작가들은 다양한 매개를 통해 상실된 것들에 대한 기록을 재현한다.
그런데 실제 전시 감상 때도 못느꼈지만 도록을 보다보니,
5명의 작가별로 작품에 나타낸 기록의 산물은 -나의 매우 개인적인 생각으로- 크게 3가지 구분이 가능하다.
1. 타자적 기록 매체에서 기억과 기록을 소환하기
1) 김원진, 2) 김정은, 3) 신리라 작가는
각각 1) 책, 2) 지도책, 3) 사진이라는 이미 기록의 박제가 완료된 소재에서
- 1) 태우거나 2) 오리거나 3) 필요한 부분만 다시 그리는 - 자신 만의 표현 방식을 통해 필요한 기록을 소환한다.
물론 각 작가별로 매체에 기록된 내용은 -사진 그리기 같이- 자신의 기억에 집중되는 것부터 -책 같이- 일면식없는 타인의 기록일 뿐인 것까지 다양하다.
사실 자신이 본 책, 자신이 익숙한 지역의 지도책, 자신과 가족의 사진 등 어떻게 보면 작가 자신과의 접촉면이 밀접하지 않으면 선택되지 않을 매개라는 점에서는 이 역시 타자가 아닌 자신의 기억과 기록일지도 모른다.
어떻든 소환은 걸맞다고 생각한다.
2. 자신의 기억과 기록을 재현, 공유하기
최현석 작가는 오로지 자신의 머리 속에 존재하는 기억을 옛날 궁중화를 그리는 듯한 화법으로 화폭에 재현한다. 재현된 기록은 -자신의 머리 속에 담긴 기억이라는 - 매우 개인적 역사성을 반영한 듯 하지만, 실제 펼쳐진 화면의 지형과 사건들은 같은 땅을 밟고 있는 자들의 공유적 역사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한다.
3. 현재적 기억을 창출하고 기록하기
한편 조혜진 작가는 벽지프로젝트를 통해 재개발 예정인 사람들과의 기억 나눔을 통해 벽지의 패턴을 창출하고,
재개발 이후 도배를 해주면서 그 현장의 모습을 사진으로 담았다.
-관람자에겐 여전히 과거의 기억에 대한 기록이지만- 사실상 작가와 프로젝트에 참가한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현재적 관점에서 그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기억을 만들어내고 또다시 작가는 그 기억을 기록으로 남겼다.
------------------------
<상실의 기록> 전
기간 - 2014.05.28 ~ 06.27
장소 - 성북예술창작터
------------------------
김원진의 [Flow_book] (2014)
김정은의 [Disappear map] (2011)
신리라의 [The way home] (2011)
조혜진의 [패턴:맞잡기 위한 뿔] (2013)
- <벽지 프로젝트>에 사용된 벽지 패턴 중 하나
최현석의 [국란도] (2013)
* 그림 출처 : 도록에서 스캔
'art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얼굴들 - 국립중앙박물관 <아시아미술신소장품전> (0) | 2014.06.20 |
---|---|
잊혀지기도 전에 접해지지도 않은... - 베트남 고대 문명전 [붉은 강紅河의 새벽] (0) | 2014.06.14 |
나름 아트♥키즈 마켓 (참가자 모집중 - ~06.13) (0) | 2014.05.23 |
직구와 변화구의 서로 다른 매력 - 서울시립미술관의 신소장전 [선물 SeMA Gift] (0) | 2014.05.10 |
작가가 만들어가고, 알려주는 역사 - [끝없는 도전 - 인피니트 챌린지] (0) | 2014.04.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