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play story61

[20220530 - 20220612] 전시 <위대포의> + 워크숍 <새로운 탄생을 담은 나만의 알 꾸미기> 아주아주 오랜만에 아주아주 소소하게 전시 + 워크숍을 준비하고 있다. 몇가지 동기가 접점으로 만나다보니 자연스레 과정으로 이어지게 되었는데, 1. 꾸준히 살펴봤던 신화에 대한 이미지 중에서 죽음 = 재탄생을 나타내는 씨앗과 알의 개념이 눈에 띄던 차에 2. 오랜 팬데믹에 늘어지는 심신을 다잡아보지만 좀처럼 시원스레 발동이 걸리지 않는 듯한 요즘 2. 오래전부터 찾아놓았던 위대포의(韋帶布衣)의 뜻이 의지와 다짐으로 빛나던 그 어느 때, 또는 미래를 꿈꿀 줄 알았던 현재와 닮은 듯 하다고 생각하게 되었다. 오늘을 즐기든 현재를 잡든 다 좋지만, 왠지 카르페디엠이 너무 소비되고 있다고 생각되는 바로 그 현재, 기왕 느긋해진 김에 앞날도 한번 생각해보는 찰나가 되길 바라며 전시와 워크숍을 준비해보려한다. 202.. 2022. 5. 19.
사진으로 보는 공연전시 <뒷목잡신의 장난> - 2021 성북진경 '기묘한 우화전' 눈 깜빡하니 축제 끝난지 벌써 3주가 다 되어갑니다. 설치 완료할 때 찍은 전시 사진 한번 공유합니다. 크게 (공연 에 등장하는) 마법돌잡화점 축소판 + 물리적 이야기 상자 + 공연 의 전시판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간만에 늘어져서 유튜브나 책을 뒤적거리는 소소한 행복을 누리고 있는지라, 당분간도 텐션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는 삶을 조금 더 누려볼 생각입니다....음훼훼~~! 2021. 12. 16.
어른이를 위한 것인 양 하는... - 전시 <마법돌 잡화점> 2020년부터 전시와 공연을 통해 을 선보이고 있다. 이 전시의 설치물들을 볼 때 그 크기 상 대체로의 어린이는 '어린이를 위한 것'이라 판단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당연스럽게 손을 댄다. 그러나 이 설치물들의 배열은 어린이들을 위한 것이 아니며 온전히 어른이들을 위한 전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마냥 어른이들을 위한 전시인가 싶은 생각도 든다. 왜냐하면 어른이들에게 있어서 이 전시물들은 어디서 본 적 없지만 뭔가 본 적 있는 것 같기도 하고, 별다른 추억이 없지만 작은 것들을 매만졌던 예전 기억들을 소환하는 것 같기도 하고, 이제는 왠지 나의 것이 아니라서 함부로 만지면 안될 것 같기도 하고, 그래서 지켜볼 뿐 배열을 흐트러뜨리면 안될 것 같기도 하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어떤 어른이가 살짝 마음이 간질.. 2021. 11. 28.
[2021.11.23~27] 기묘한 우화전 - 성북진경X오픈스페이스페스타 2021 성북진경X오픈스페이스페스타의 일환으로 천장산우화극장에서 전시 이 개최됩니다. 저도 2021 성북세계음식축제 누리마실에서 선보인 공연 을 전시화한 공연 전시 형태로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 기묘한 우화전 2021.11.23 ~ 27 13:00 ~ 17:00 천장산우화극장 (성북정보도서관 지하1층) 자유관람 ----- 이번 축제는 천장산우화극장뿐 아니라 성북의 다양한 공간에서 그간 공간네트워크을 통해 형성된 지역X예술X공간의 컬래버로 이뤄지는 만큼 여러 공간과 그곳에서의 프로젝트들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2021. 11. 19.
D-2, 전시공연 <뒷목잡신의 장난> 이야기상자 전시공연 이 성북세계음식축제 누리마실에 참여하여 11월 13일(토) 오후 7시에 미인도에서 열립니다. 2021 이야기상자프로젝트 전시공연 - 뒷목잡신의 장난 일시 - 2021.11.13 19:00 장소 - 미인도 (서울 성북구 동선동3가 22-6) 예매 - https://forms.gle/saypSGPes5GsRY346 SYNOPSIS (줄거리) 뒷목잡신은 사람들의 머리에서 소리가 날 때마다 뒷목을 잡는 신이다. 사람들의 슬픈 소리가 듣기 싫어 뒷목을 잡아봐도 다시 시끄러워지진다. 우연히 도서관에서 발견한 마법돌을 살짝 보여줬더니 사람들이 더이상 나타나지 않아 조용하다. 그러던 어느날 돌을 찾으러 마법돌 잡화점 주인장이 나타났다. INTENTION OF THIS PROJECT (기획의도) 최근.. 2021. 11. 11.
이야기 상자 만들기 워크숍 - 제작 키트를 보내드려요 내가 나에게 보내는 힐링 프로젝트 이야기 상자 만들기 워크숍 이야기 상자와 엘마드레가 성북구의 동네친구들과 함께 정을 나누기 위한 이야기 상자 만들기 키트 전달 프로젝트를 진행합니다. 나만의 이야기 상자를 만드는 과정을 통해 수많은 누군가의 이야기로 가득 찬 세상 속에서 자신 만의 이야기를 스스로 만들어보는 시간을 가져보세요. 신청 https://www.instagram.com/l.madre_official/ 키트 제공 인원 10명 * 키트를 제공받은 분들은 직접 만드신 이야기 상자를 영상으로 찍어 공유해주세요. 성북동 엘마드레에서 함께 전시해봐요. * 이야기상자 만들기 영상 : https://youtu.be/IkWkp57Rgy4 이야기 상자 만들기 워크숍 - 내가 나에게 보내는 힐링 프로젝트 이야기 상.. 2021. 9. 11.
2020 엘마드레와 함께 한 이야기 상자 힐링 공연 프로젝트 SNS로만 홍보하고 별도로 내 아카이브는 되어 있지않아서 블로그에도 게시합니다. 지금도 해당 QR코드로 애니메이션을 볼 수 있습니다. 2021. 4. 10.
마법돌잡화점 in 202012 천장산우화예술제 12월 16~20일까지 있었던 천장산우화예술제에서 전시 을 영상으로, 낭독극 를 온라인 생중계로 진행했습니다. 나중에 영상으로도 한번 더 업데이트할 예정인데 그 전에 사진으로 만나보려 합니다. 이번 전시는 27명의 작가가 함께 한 총 39개 마법돌들이 전시되었는데요. 실제 팝업스토어에 해당하는 잡화점을 구현했습니다. 들어가는 입구인 왼쪽이 응접실, 가운데 안쪽이 마법돌 제작실, 오른쪽은 마법돌 전시실이자 돌 입장에서는 휴게실입니다. 2020. 12. 25.
이야기상자 공연 <새 여행자의 여행> 지난 11월 21일 오후5시 성북역사문화센터에서 이야기상자 공연 을 올렸습니다. 뒤늦게지만 반가운 성북세계음식축제 누리마실의 코로나 극복 응원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함께 하게 된 공연에 대해 뒤늦게지만 공유하게 되네요. 공연 전까지 살짝 긴장한 건 사실이나 매끄럽게 타이밍이 맞춰져서 개인적으로 굉장히 뿌듯한 공연이었습니다. 나중에라도 선보이게 될 수 있으면 좋겠네요. 성북세계음식축제 누리마실 소개 페이지 - nurimasil.net/festival_3/ 1. SYNOPSIS 실제 월곡동의 마을을 담은 풍경 속으로 새 ‘여행자’가 인간의 시선이 아닌 새로운 시선으로 둘러보는 여행기 2. INTENTION OF THIS PROJECT 공연 은 이야기 상자를 통한 이야기 전개와 애니메이션을 결합한 장르의 다채로.. 2020. 11. 25.
Salon pour vous! 이야기살롱 - 나만의 이야기 상자 만들기 워크숍 지난 9월에 있었던 이야기살롱 - 나만의 이야기를 담은 상자 만들기 워크숍이 무사히 끝났습니다. 2회라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다들 느긋하게 상자를 만들고, 사사롭게 이야기를 만들고, 아름답게 이야기상자 공연을 나누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들 워크숍에 진심을 담아주어서 매우 감사했습니다. 다른 기회에도 즐겁게 함께 하길 기대하겠습니다. 2020. 10. 13.
[이야기상자] 무슨 씨의 서울로 모험 온라인 공연 [무슨 씨의 서울로 모험]은 거대 도시의 허파와 같은 서울로 7017을 통해 걷기의 여유와 식물이 있는 정원문화를 접하는 즐거움을 나누기 위한 '서울로7017 랜선 서울로 길놀이' 행사의 일환으로 기획되었습니다. 멀어진 사회적 거리만큼 마음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온라인으로 찾아가는 랜선 서울로 길놀이는 서울로7017 홈페이지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접하실 수 있습니다. [공연 정보] * 제목 - 무슨 씨의 서울로 모험 * 줄거리 - 무슨 씨는 서울로테라스 건물 8층 신발 속에서 사는 씨앗으로, 좋은 곳에 뿌리내려 살길 희망 한다. 어느 날 신발의 발걸음을 따라 서울로 7017에 나와서 다양한 식물들을 만나면서 예기 치 못한 모험을 시작한다. * 기획의도 - 거대 도심 한복판에서 펼쳐지는 지극히.. 2020. 10. 3.
2020.10.03 이야기상자 공연 <무슨씨의 서울로 모험> - 랜선 서울로 놀이 온라인 공연 오는 10월 3일 서울로 7017 홈페이지를 통해 이야기 상자 공연 이 상영됩니다. 이야기 상자 유튜브에도 올려놓을 예정이니 많은 시청 바랍니다~! http://seoullo7017.co.kr 2020. 1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