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턴7 집에 낙서중 3탄 회색 물건의 얇은 옆면에 노란 그림이지만 조명발 안좋은 곳에 위치하다보니 필터 한바가지 씌워봄 2022. 8. 29. 과거의 낙서에서 이미지 채굴 中 꺼진 낙서도 다시 보자~! 2021. 8. 19. 패턴 20210627 아무런 단서도 없이, 아무런 스토리 없이... 너무나 비호감 방식, 그래도 가끔은 호감... 2021. 6. 27. 패턴 보색 빙글빙글 돌아 보라보라 지나 노랑노랑 거쳐 두근두근 이곳 2021. 4. 6. 낙서 20200709 돌아돌아 다시돌다 멀리가도 다시오다 어느샌가 멈춰보다 제자린줄 쳐다보다 어느샌가 멀리오다 낯선자리 돌다오다 2020. 7. 9. 20190902, 헤엄치며 날아라 묵직해진 색구름, 핏줄 날선 눈동자, 쏟아지는 물결들, 피어나는 꽃망울, 헤엄치며 날아라. 2019. 9. 2. [패턴] 상서로운 바닥 5세기경 신라시대 금동으로 만든 신의 바닥 문양입니다. 크게는 육각의 거북 등껍질 문양이 있고, 그 안에 도깨비같은 동물, 쌍으로 된 새(또는 쌍두새이던가) 등의 모습이 들어있습니다. 외곽의 5각형 안에도 가릉빈가, 새, 기린, 날개 달린 물고기와 같이 [산해경]에나 등장할 법한 일상이 아닌 신비의 동물들로 가득 차있습니다. 수려하고 화려하고 바닥에 박힌 못 길이를 생각하면 일상의 용품은 절대 아닐테고 제의에 쓰이지 않았을까 추측되는데, 약간 의외라고 할까요? 뭔가 오래된 고대라도 삼신할망, 산신 등 인간화된 각종 신만을 생각했었는데 생각해보니 각종 동물과 비슷하게 믹스된 이미지는 전세계적인 코드라고 볼 수도 있죠. 특히 새 또는 날개의 존재는 더욱 그럴테고요. 참고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삼국시대 중 백제.. 2013. 3. 3.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