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세기경 신라시대 금동으로 만든 신의 바닥 문양입니다.
크게는 육각의 거북 등껍질 문양이 있고, 그 안에 도깨비같은 동물, 쌍으로 된 새(또는 쌍두새이던가) 등의 모습이 들어있습니다.
외곽의 5각형 안에도 가릉빈가, 새, 기린, 날개 달린 물고기와 같이 [산해경]에나 등장할 법한 일상이 아닌 신비의 동물들로 가득 차있습니다.
수려하고 화려하고 바닥에 박힌 못 길이를 생각하면 일상의 용품은 절대 아닐테고 제의에 쓰이지 않았을까 추측되는데,
약간 의외라고 할까요?
뭔가 오래된 고대라도 삼신할망, 산신 등 인간화된 각종 신만을 생각했었는데 생각해보니 각종 동물과 비슷하게 믹스된 이미지는 전세계적인 코드라고 볼 수도 있죠.
특히 새 또는 날개의 존재는 더욱 그럴테고요.
참고로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삼국시대 중 백제 유물 찾다가 '중세'가 아닌 '고대'관에 있다는 사실에 약간 놀랐다고나 할까요?^^;;
인간이 역사라는 시간의 구획에 이름 붙인 기간은 지구의 시간과 비교하여 '상당히 최근' 뿐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 사진출처 :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직접 사진
'myth story'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보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中 신라 금관총 관모 (0) | 2014.08.28 |
---|---|
때; 적어도 4000년 전, 직업; 아마도 제사장? - 알타이 청동기 시대 벽화 中 (0) | 2014.08.28 |
[국보87호]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中 신라 금관총 새모양 관꾸미개 (0) | 2014.08.27 |
[패턴] 고구려 시대 미륵상 광배 (0) | 2013.03.06 |
길상(吉祥)의 상징과 기호 (2) | 2012.09.02 |
댓글